증거금이란

파생상품(선물·옵션)거래는 High-risk, High-return 상품으로 손실위험이 크므로 결제이행을 위한 담보가 항상 필요합니다.
즉, 선물거래의 경우 계약시점과 결제시점간의 간격이 장기간이므로 미결제약정을 갖고 있는 투자자로 하여금 선물가격이 자신에게 불리하게 변동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증거금을 납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증거금은 현금에 갈음하여 대용증권, 외화증권 및 다음 외화로도 납부할 수 있습니다.
Θ 미국 달러화, Θ 일본 엔화, Θ 유럽연합 유로화, Θ 영국 파운드화, Θ 홍콩 달러화, Θ 호주 달러화, Θ 싱가포르 달러화, Θ 스위스 프랑화, Θ 캐나다 달러화, Θ 중국 위안화가 있습니다.
증거금의 종류

납부 주체에 따라, 고객이 회원에게 납부하는 "위탁증거금"과 회원이 거래소에 납부하는 "거래증거금"으로 구분되며,
납부시기에 따라서는 주문 제출 전에 납부하는 "사전증거금"과 거래종료 후에 납부하는 "사후증거금"으로 구분됩니다.

현재, 거래증거금은 사후증거금제도가 적용되며, 위탁증거금의 경우 적격기관투자자는 사후증거금제도가 그 외 일반투자자는 사전증거금제도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증거금 산출절차

KRX의 증거금제도인 COMS(Composite Optimized Margin System)는 보유하고 있는 선물 및 옵션거래의 전체 포트폴리오를 고려하여 순위험 방식으로 평가하는 증거금 체계입니다. 주가지수, 주식, 채권, 통화, 일반상품 등 기초자산의 특성이 유사한 상품군(Product Group)별로 증거금을 산출 후, 상품군별 증거금을 단순 합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전위탁증거금액은 ① 신규주문 분에 대한 주문증거금액, ② 보유하고 있는 미결제약정에 대한 순위험증거금액, ③ 거래분에 대한 결제 순손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전 위탁증거금 = (주문증거금액/(신규+미체결구문))+순위험증거금액+(결제순손익/(당일체결+전일체결))

사후 위탁증거금은 장종료 시점의 미결제약정에 대하여만 증거금을 부과하므로, 주문에 대한 증거금은 없습니다.


사후 위탁증거금 = 순위험증거금액+(결제순손익/(당일순손익))

주의증거금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KRX 시장] 자본시장 칼럼 > 비정기간행물"에서 "파생상품의 이해"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증거금 납입수단

고객은 현금 뿐 아니라 대용증권, 외화, 외화증권으로 위탁증거금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KRX는 상장주권, 상장채권, 상장DR, ETF 등 상장증권 중심으로 증거금으로 납입 가능한 대용증권을 지정하고 있으며, 외화의 경우 미국달러, 엔, 유로, 파운드, 위안화 등 주요 10개 외화를 납입가능 통화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한편, 외화증권의 경우 지난 '13.3.18일자로 비거주자에 대한 미국국채(Treasury Bill, Note, Bond)의 증거금 예탁을 허용한 바 있습니다.

단, 현금과 달리 담보가치의 하락 가능성이 존재하는 대용증권, 외화, 외화증권의 경우 기준시세의 일정비율만이 증거금 납입액으로 인정되며, 증거금의 일정 비율을 반드시 현금으로 납입해야 하는 현금증거금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증거금률 관리

증거금은 '기초자산의 가격 또는 수치가 일정한 수준으로 변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순손실상당액' 수준이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증거금 산출시 적용하는 증거금률은 원칙적으로 해당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성을 고려하되, 파생상품별 특성이나 시장상황 등의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결정합니다.

거래소는 증거금률의 적시 조정을 위해 매일 가격변동성을 측정·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증권·파생상품시장 증거금 관리기준'에 의거, 정기적으로 증거금률의 적정성을 점검(정기점검)하고, 시장급변 등의 경우에는 그 때마다 증거금률 적정성을 수시로 점검(수시점검)하여 필요시 증거금률을 조정합니다.


pdf 보기증권·파생상품시장 증거금 관리기준('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