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그램 매매
-
프로그램매매는 일반적으로 시장분석·투자시점 판단·주문제출 등의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거래기법을 통칭하는데, 시장상황별로 실행할 투자전략을 사전에 미리 수립하여 그 내용을 컴퓨터에 프로그래밍하고, 시장상황의 분석과 분석내용에 따른 주문 등을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터로 처리하는 매매방법을 말합니다.
한국증권시장에서의 프로그램매매는 모든 지수차익거래와 동일인이 일시에 KOSPI 구성종목중 15종목 이상을 거래하는 비차익거래를 의미합니다.
지수차익거래란 KOSPI 200 구성종목의 주식집단과 KOSPI 200 선물 또는 옵션의 가격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주식집단과 선물 또는 옵션을 연계하여 거래하는 것입니다. 주식집단과 선물 또는 옵션의 매매시기는 동시임을 전제하지 않으므로 선물 또는 옵션을 매수한 후 주식집단을 순차적으로 매매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포함됩니다.
현행 업무규정상 지수차익거래는 ①주식집단의 매수와 동시에 지수선물종목의 매도를 하는 거래, ②주식집단의 매도와 동시에 지수선물종목의 매수를 하는 거래, ③주식집단의 매수(매도)후 지수선물종목의 매도(매수)를 하는 거래, ④지수선물종목의 매수(매도)후 주식집단의 매도(매수)를 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한편, 지수선물종목의 매도는 지수합성선물의 매도(콜옵션을 매도하고 풋옵션을 매수하는 거래)를 포함하며, 지수선물종목 매수는 지수합성선물의 매수(콜옵션을 매수하고 풋옵션을 매도하는 거래)를 포함합니다.
-
- 합성물의 예
-
- 프로그램매매 호가효력 일시정지제도(Sidecar)
-
Sidecar 제도는 프로그램매매를 규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시장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매매의 호가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동 제도에 따르면 파생상품시장에서 기준종목의 가격이 기준가대비 5%이상 상승 또는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상승의 경우에는 프로그램매수의 호가효력을, 하락의 경우에는 프로그램매도의 호가효력을 5분동안 정지하며, 프로그램매매의 호가효력이 5분동안 정지된 후에는 접수순서에 따라 매매를 체결시킵니다. 또한, 기준종목의 가격이 기준가대비 5%이상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 프로그램매수호가 또는 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장종료 40분전이후, 그리고 프로그램매매호가의 효력정지시간중 주식시장의 매매거래중단제도(Circuit Breakers)에 의하여 주식시장의 매매거래가 중단된 후 당해 매매거래가 재개된 때에도 Sidecar의 발동을 해제하도록 하였습니다.